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CODE
- 포토샵
- 윈도우10
- CSS
- HTML
- sublime text
- 서브라임 텍스트
- VS
- SM5
- 컴퓨터
- 서브라임
- Sass
- 모바일
- GIT
- Scss
- 윈도우
- 오블완
- 티스토리챌린지
- 윈도우11
- 제이쿼리
- 에이펙스레전드
- vscode
- 단축키
- 알리익스프레스
- 아이폰
- 태국
- Github
- 컴파일
- 설정
- INPUT
- Today
- Total
web sprit
가끔 사용하는데 매번 까먹어서 블로그에 정리해 봅니다. background-origin 속성은 배경의 이미지의 위치를 처음에 어디에 설정할 것인지를 정해줍니다. 정식 설명은 무시하고 내가 사용해본 결과 그렇습니다. 속성의 값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속성값 설명 padding-box 기본값 border-box 배경이미지의 시작을 보더선에서 시작 content-box 배경의 시작을 패딩(padding)의 안쪽에서 시작 initial 기본값으로 설정 inherit 부모요소에서 상속받는다. 사용에 대한 화면 확인은 w3schools 에서 확인하면 됩니다.참고 : https://www.w3schools.com/cssref/playit.asp?filename=playcss_background-origin
브라우저에서 디자인 되어 확인 할 수 있는 화면의기본적인 HTML의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123456789101112 Document // body태그 안에서 화면에 그려지는 모습을 태그로 작성. cs ## 태그(tag)란 ? 이런 형식으로 되어 있는 것을 태그라 합니다.예) div 태그 span 태그 ## 태그 종류태그의 종류는 블록(block)태그, 인라인(inline)태그로 나뉩니다.예)block 태그 - div, p, ul, li, 등...inline 태그 - span, strong, em, 등.... ## 블록태그와 인라인태그의 차이점블록태그 - 수평의 영역을 다 차지한다.인라인태그 - 감싸고 있는 안의 영역만큼의 영역을 차지한다.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
스크립트로 pc와 mobile를 구분하여 어떤 환경이냐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기위해 검색 중 Navigator을 사용하여 접속환경을 구분할 수 있었다. 다음과 같은 조건문을 적용하여 환경을 구분한다.1234567891011121314151617function device_check() { // 디바이스 종류 설정 var pc_device = "win16|win32|win64|mac|macintel"; // 접속한 디바이스 환경 var this_device = navigator.platform; if ( this_device ) { if ( pc_device.indexOf(navigator.platform.toLowerC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