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 sprit
알고 보면 엄청 단순하지만 막상 이론적으로 머리가 안굴러가는 현상.... 정말 단순하지만 정리해 봅니다. 우리가 반응형 사이트를 만들때 em또는 rem 단위로 font size를 작업합니다. em이나 rem 같은 경우는 유동적이라 반응형이나 모바일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간단하게 em과 rem을 설명하자면em은 부모요소에게 영향을rem은 최상단 부모요소(html)에게 영향을 받습니다. em은 부모요소에 12px의 폰트사이즈가 적용되어 있다면1em은 12px 입니다. 그럼 2em은 24px 이고요. ㅎ rem은 부모요소에 12px로 적용하여도 부모요소에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최상단 부모요소(html)에게 영향을 받기 떄문에html 태그에 16px로 적용되어 있다면1rem은 16px이고 2rem은 32xp ..
함수안의 함수를 호출하기 위해선몇가지의 방법이 있습니다. 1. 내부함수를 Object로 반환.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function outF(){ console.log('상단 콘솔'); function inF() { console.log('in Function'); } function inF2() { console.log('in2 Function'); } console.log('하단 콘솔'); return { inF_Obj : inF, // inF 함수를 inF 객채에 담는다. in2_Obj : inF2 }} var moduleOut = outF();moduleOut.inF_Obj();moduleOut.in2_Obj(); /*//////////..
개인적으로 티스토리는 블로그를 정리하여 지식 또는 정보공유의 목적으로도 사요하고 있지만, 그보다 내가 정리한것을 다시확인하고 학습하기위함도 있다.로그인을 안하고 들어오면 글을 드래그해서 복사할 수 없게 티스토리에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비교적 간단하다. 1. 설정버튼을 눌러 티스토리 관리자로 들어가 준다. 2. 왼쪽메뉴에 보면 플러그인 메뉴가 있다. 클릭!!! 3. `마우스 오른쪽 클릭 방지` 라는 플러그인 클릭. (보기에서 스팸/불펌방지 클릭을 하면 더 찾기 쉽다.) 4. 적용 또는 해재 클릭. `마우스 오른쪽 클릭 방지` 플러그인은 드래그 복사 및 우클릭을 막하주는 플러그인이다.자신이 블로그에 올린글에 대해 저작권이나 보호를 원한다면 플러그인을 적용 바란..